티머니 뉴스

융합의 + 힘

"융합의 +힘"

러시아, 프랑스, 멕시코… 가까운 동양권뿐 아니라 유럽과 남미에 있는 여러 국가가 서울의 첨단 교통시스템을 견학하고 시사점을 찾기 위해 번번히 한국을 찾고 있다.

인구 500만명 이상인 세계의 대도시 가운데 일곱 번?로 인구 밀도가 높은 서울에서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버스와 지하철, 택시 등 모든 교통 수단을 이용 할 수 있고, 대중 교통 이용 활성화를 통한 교통량 감소와 도시 교통난 해소, 이산화 탄소 배출량 감소 등의 환경적 효과 등 한국스마트카드의 기술력과 운영 노하우가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04년 새로운 교통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자가용 이용객의 14.2%가 대중교통으로 전환하여 대중교통 이용자가 일 평균 90만 명 증가하였으며, 서울 시내버스 사고건수는 월 평균 24%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렇다면, 오늘의 교통시스템은 이전과 비교하여 무엇이 달라졌고 어떤 가치가 증대 되었는가? 우리의 교통시스템은 다른 나라와 무엇이 다르고 그 힘의 원천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던져본다.

2004년 대중교통체계 개편 이전, 수도 서울의 교통 인프라는 적정 통행량을 초과하여 승용차가 도로의 72%를 차지하고 도로 길이를 1% 늘리는데 약 3조원의 재원이 소요되었으며, 교통 정체로 인한 교통혼잡비용이 연간 5조원이 넘는 등 환경과 에너지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켰다. 또한 2기 지하철 건설에 10조원이 투입되고 킬로미터당 건설비가 1,300억원 이나 소요되었으나 수송 분담율은 5.3% 증가에 그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어려운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고자 대중 교통 수단간 갈아타기를 무료로 하되 거리에 따라 요금을 달리하는 통합거리 비례제로 바꿈과 동시에 노선을 바꾸고 버스 운영체계를 개선하는 등 개편을 하게 되었다. 지하철은 이동 거리 측정이 쉬우나 버스를 이용한 이동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GPS기술을 활용하고, 안전하고 편리한 소액 결제를 위하여 스마트카드를 도입하고 단말기를 개발하였으며 하루 3,500만 건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다양한 사업자 별로 수입금을 배분하고 스마트카드에 저장한 고객의 돈을 정확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정산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제는 시내버스 앞 뒤차의 간격은 물론 정류소 별 도착시간을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쉽게 알 수 있어서 스마트폰의 가장 활용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이 되었다. 요일별, 시간대별, 교통수단별, 지역별, 노선별, 이용 승객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함이 가능하여져서 객관적이고 신속한 대중 교통 정책을 펼 수 있게 되었다. 주말 및 공휴일에는 시민들이 즐겨 찾는 근교 산 시민공원 등 수요가 집중되는 곳에 버스 노선을 신설하여 운행하고 출퇴근 시간 이용승객이 집중되는 구간의 혼잡을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 노선도 운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해외의 많은 도시로부터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는 이유는 수도권의 대중교통 규모나 스마트카드 이용건 수 때문은 아니라고 본다. 해묵은 그리고 힘든 대중 교통 문제를 해결 하고자 하는 의지와 정책이 대한민국의 첨단 정보 통신 기술력과 강하게 융합하였기 때문이라고 확신한다. 서울시의 교통정책을 중심으로 스마트 카드 기술, 단말기 구현 기술, 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 위치정보 기술, 대량의 데이터를 가공하고 정산하는 기술이 융합하여 실로 놀라운 결과를 만들어 내었다.

최근 정부에서 소프트웨어 강국 도약을 위한 월드베스트 프로젝트(WBS)에 제조업, 서비스업과 소프트웨어의 융합이 핵심과제로 자리잡고 있어서 기대가 된다. 개별적인 접근으로 불가능하였던 일들이 융합에 의해 해결되고 산업적으로 사회적으로 혁신을 이루는 성과가 많이 나와서 국제표준을 리드하고 해외진출의 기반을 닦는 계기가 되리라고 본다. 기술간의 융합, 산업간의 융합, 정책과 기술 그리고 산업의 융합도 가능하리라고 본다. 어려운 과제를 깊이 있게 고민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상상력과 기술을 묶을수록 해결의 가능성은 높아지고 가치는 배가 되리라고 본다.


글 한국스마트카드 CEO 박계현


About (주)한국스마트카드 KSCC
(주)한국스마트카드 (이하:KSCC)는 "2015 Global Micropayment Service Provider"라는 새로운 비전과 함께 고객에게 최고의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Contact Info.
이진섭 (Jeff, Lee)
+82 2 2288 7772
djpepsi@t-money.co.kr